![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L5QUj%2Fbtsg85ZCt1w%2FGzWf3zygn8CvChPXPf1c50%2Fimg.png)
#7 타행 이체 개선기, 비관락 획득 후 외부 API 호출 최소화
📌 문제 상황 1. 즉각 요청-응답 프로세스는 외부 서비스와의 connection을 유지한 채 비관 lock을 잡기에, lock으로 인한 다양한 이슈가 외부 서비스로 전파될 위험 존재(ex. deadlock 발생시 connection도 대기) 2. 즉각 요청-응답 프로세스는 타행 이체(은행A→은행B 이체)를 2개의 API(이체 입금 요청 API, 이체 입금 완료 응답 API)로 구현하자는 은행 간 약속(프로토콜)을 무시하는 방법임. 📌 접근 방법과 해결과정 원인 분석 - 그림2 즉, 이체 입금 요청을 비동기로 처리하는 구조의 문제점 재파악. - 입금을 위해 비관 lock을 잡고 Network I/O를 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파악. - 특히 타행(이체 입금 역할)은 당행(이체 출금 역할)의 이체 내역..